맨위로가기

날개 (소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날개》는 이상이 1936년 발표한 소설로, 일제강점기 무기력한 지식인의 자아 분열과 소외를 다룬 작품이다. 주인공 '나'는 아내에게 의존하며 무기력한 삶을 살아가고, 아내의 매춘을 목격한 후 날개를 갈망하며 자아 회복을 시도한다. 이 소설은 1930년대 모더니즘 소설의 대표작으로, 심리주의적 기법을 통해 식민지 시대의 현실을 반영했으며, 한국 현대문학 최초의 심리소설로 평가받는다. 1968년 영화로 제작되었으며, 게임과 음악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상의 소설 - 종생기
    《종생기》는 이상이 1936년 도쿄에서 쓴 소설로, 25년 11개월의 삶을 마감하려는 주인공 '나'의 심리적 갈등과 여성 정희와의 만남을 통해 시대와 불화하는 지식인의 암울한 내면과 자아 분열, 고뇌를 그린 작품이다.
  • 1936년 단편소설 - 무녀도
    김동리의 단편 소설 무녀도는 경주를 배경으로 기독교와 무속의 갈등, 그리고 벙어리 딸의 시선을 통해 시대 변화 속에서 전통적 가치가 몰락해가는 과정을 그린 작품이다.
  • 1936년 단편소설 - 킬리만자로의 눈 (단편 소설)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단편 소설 《킬리만자로의 눈》은 킬리만자로 산에서 부상으로 죽음을 기다리는 작가 해리가 삶을 회상하며 고뇌와 후회를 겪는 과정을 그린 작품으로, 그의 과거, 사랑, 예술가로서의 고뇌를 간결하고 절제된 문체로 묘사하며 1952년 영화화되기도 했다.
  • 일제강점기의 단편소설 - 발가락이 닮았다
    김승옥의 소설 《발가락이 닮았다》는 성병으로 생식 능력을 잃은 M과 그의 아내 사이의 비극을 통해 인간의 고독과 슬픔을 그린 작품이다.
  • 일제강점기의 단편소설 - 운수 좋은 날
    현진건의 단편 소설 《운수 좋은 날》은 일제강점기 경성을 배경으로, 많은 돈을 벌었지만 아내의 죽음을 맞이하는 인력거꾼 김첨지의 비극적인 하루를 통해 식민지 시대 하층민의 고통스러운 삶을 사실적으로 묘사한 작품이다.
날개 (소설) - [서적]에 관한 문서
서지 정보
제목날개
원제날개
영문 제목The Wings
저자이상
국가한국
언어한국어
장르단편 소설
발표1936년 9월
발표 매체잡지 《조광
ISBN89-88095-50-2

2. 배경과 창작

〈날개〉는 1936년 9월 〈조광〉에 발표된 소설로,[10] 이상의 개인적인 경험과 당시 시대상이 반영되었다. 이상은 1933년 결핵 진단을 받고[6] 《날개》를 집필한 후 도쿄로 여행을 떠났으나,[6] 1937년에 사망했다.

이 작품의 영문 번역본은 안정효와 제임스 B. 리에 의해 2001년 지문당 출판사에서 출판되었다.[2]

2. 1. 작가 이상

이상은 1926년 경성고등공업학교에 유일한 조선인 학생으로 입학하여 수석을 다툴 만큼 뛰어난 지식인이었다. 그는 일본어를 구사할 줄 알았고, 박태원의 소설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의 삽화를 그려주기도 했다.[8] 1933년 폐병에 걸려 직장을 그만두고 요양을 갔다가 기생 금홍(錦紅)과 2년 남짓 동거 생활을 한다. 금홍과 서울로 온 이후 다방 등을 운영하지만 실패하고, 〈조선중앙일보〉에 연재하던 시 〈오감도〉는 난해하여 독자들에게 항의를 받고 연재가 중단된다.[9] 이상은 금홍이 벌어주던 돈으로 생계를 유지했고, 금홍과 헤어진 이후에도 동림이란 여성의 힘으로 살아갈 수 있었다. 이 작품에는 이러한 이상의 의식이 반영되었다.[8]

2. 2. 시대적 배경

이상은 1926년 경성고등공업학교에 유일한 조선인 학생으로 입학하여 수석을 다툴 만큼 뛰어난 지식인이었다. 그는 일본어를 구사할 줄 알았고, 박태원의 소설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의 삽화를 그려주기도 했다.[8] 1933년 폐병에 걸려 직장을 그만두고 요양을 갔다가 기생 금홍(錦紅)과 2년 남짓 동거 생활을 한다. 금홍과 서울로 온 이후 다방 등을 운영하지만 실패하고, 〈조선중앙일보〉에 연재하던 시 〈오감도〉는 난해하여 독자들에게 항의를 받고 연재가 중단된다.[9] 이상은 금홍이 벌어주던 돈으로 생계를 유지했고, 금홍과 헤어진 이후에도 동림이란 여성의 힘으로 살아갈 수 있었다. 〈날개〉에는 이러한 이상의 의식이 반영되었다.

〈날개〉는 1936년 9월 〈조광〉에 발표되었다.[10]

3. 줄거리

'나'는 아내와 함께 33번지에서 산다. '나'는 햇빛이 들지 않는 어두운 방에서 무기력하게 지내는 반면, 아내의 방은 햇살이 가득하다. '나'는 아내가 외출하는 것을 보아 직업이 있음을 알지만, 무슨 일을 하는지는 모른다. 아내의 내객들은 집에 찾아와 돈을 주고 가며, '나'는 아내가 번 돈으로 생활한다.

어느 날, '나'는 아내가 준 돈을 지폐로 바꾸기 위해 외출하지만, 돈을 쓰지 않고 여기저기를 돌아다닌다. 아내는 '나'에게 다음에는 더 늦게 들어와도 된다고 말한다. 다음 날에도 외출한 '나'는 비를 맞고 일찍 돌아와 의식을 잃는다. 아내는 '나'에게 약을 주고 외출하지 말라고 한다. 이후 '나'는 그 약이 수면제였다는 것을 깨닫는다.

'나'는 화가 나면서도 오해했을 수도 있다는 생각에 집으로 돌아오지만, 아내의 매춘을 목격하고 도망친다. '나'는 이곳저곳을 다니다가 미스꼬시 백화점 옥상에 이른다. 정오의 사이렌이 울리자 '나'는 “날개야 다시 돋아라. 날자. 날자. 날자. 한번만 더 날자꾸나. 한번만 더 날아보자꾸나."라고 말하고 싶어진다.[2]

4. 주제와 분석

〈날개〉는 다양한 관점에서 해석될 수 있는 작품이다. 주인공 '나'는 일제강점기의 무기력한 지식인의 모습을 대변하며, 그의 어두운 현실 인식과 자아 분열을 보여준다. '나'는 아내와의 관계에서 소외되고 가치가 전도된 삶을 살아가지만, 한편으로는 본래의 자아를 찾고자 하는 욕망을 품고 있다.

'나는 마르크스나 맬서스를 알고 아달린이 어떤 약인지 아는 지식인이지만, 무기력한 모습은 아내와의 비교를 통해 더욱 두드러진다. 아내에 대해 알지 못하고 궁금해하지도 않는 '나'와 아내의 갈등은 '나'의 분열된 자의식으로 나타나며, 이러한 혼란스럽고 불안한 자의식은 의식의 흐름 기법을 통해 표현된다.

'나'는 세상과 단절된 자신의 방과 아내의 규율에서 벗어나 다섯 차례 외출을 시도하며, 이를 통해 점차 시간적, 공간적, 그리고 의식의 확장을 경험한다. 마지막 외출에서 날개를 펴고자 하는 '나'의 모습은 분열된 자아에서 본래의 자아를 찾고자 하는 의지이자 자기 구원을 꾀하는 의지로 해석된다.

4. 1. 무기력한 지식인

〈날개〉의 주인공 '나'는 일제강점기의 어두운 현실 속에서 무기력하게 살아가는 지식인의 모습을 보여준다. '나'는 아내가 하는 일이나, 손님들이 아내에게 돈을 주는 이유를 모르며, 돈을 쓰는 방법도 모른다. '나'는 방에서 종일 뒹굴거나 아내가 외출하면 아내 방에서 아내를 생각하고 아내의 물건으로 장난치는 것이 일과의 전부이다. 어린아이 수준으로 퇴행한 인물이지만, '나'는 마르크스나 맬서스를 알고 아달린이 어떤 약인지 아는 지식인이기도 하다.[11]

'나'의 무기력함은 아내와의 비교를 통해 더욱 두드러진다. '나'의 방은 빈대가 들끓고 어두침침한 반면, 아내의 방은 화려하고 햇볕이 잘 든다. '나'는 검은 양복 한 벌이 전부이지만, 아내의 옷은 화려하다. 아내가 주는 돈을 받기만 하는 '나'의 모습은 유대감이 없는 건조한 인간관계를 보여준다.

'나'는 아내에게 사육되는 존재이기도 하다. 아내가 무슨 일을 하는지 모르는 주인공은 아내가 일하는 시간에는 아랫방에 들어갈 수 없다. 이 규칙을 지키면 아내에게 밥과 돈을 받는다.[13] 아내는 매춘에 방해가 되는 남편을 수면제로 재우고 어두운 방에서 나오지 못하게 한다.[10]

작품은 무기력한 '나'의 모습을 통해 자아 분열을 묘사한다. 아내에 대해 알지 못하고 궁금해하지도 않는 '나'와 아내의 갈등은 '나'의 분열된 자의식을 나타낸다. 이러한 혼란스럽고 불안한 자의식은 의식의 흐름 기법을 통해 표현된다. '나'와 아내의 관계는 역할이 뒤바뀐 부부 관계로, '나'의 가치가 뒤집힌 삶을 은유하며, 이는 당시 지식인의 모순된 자의식을 나타낸다.[12]

'나'는 세상과 단절된 공간이던 자신의 방과 아내의 규율에서 벗어나기 위해 다섯 차례 외출을 시도한다. 처음에는 실패하지만, 점차 시간적, 공간적 확장을 경험하며 의식의 확장까지 이룬다. 마지막 외출에서 날개를 펴고자 하는 '나'의 모습은 분열된 자아에서 본래의 자아를 찾고자 하는 의지이자 자기 구원을 꾀하는 의지로 해석될 수 있다.

4. 2. 자아 분열과 소외

〈날개〉의 주인공 '나'는 일제강점기의 무기력한 지식인의 모습을 보여준다. '나'는 아내가 하는 일이나 돈을 쓰는 방법을 모르고, 방에서 뒹굴거나 아내의 물건으로 장난치는 것이 일상의 전부이다. '나'는 마르크스나 맬서스를 알고 아달린이 어떤 약인지 아는 지식인이지만, 무기력한 모습은 아내와의 비교를 통해 더욱 두드러진다.[11] '나'의 방은 어둡고 빈대가 들끓지만, 아내의 방은 화려하고 햇볕이 잘 든다. '나'는 옷도 검은 양복 한 벌뿐이지만, 아내는 화려한 옷을 가지고 있다. 아내가 주는 돈을 받기만 하는 '나'의 모습은 유대감을 상실한 인간관계를 보여준다.[12]

작품은 '나'의 무기력함을 통해 자아 분열을 묘사한다. 아내에 대해 알지 못하고 궁금해하지도 않는 '나'와 아내의 갈등은 '나'의 분열된 자의식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혼란스럽고 불안한 자의식은 의식의 흐름 기법을 통해 표현된다.[13] '나'와 아내의 관계는 구실이 뒤바뀐 부부 관계로, '나'의 가치가 전도된 삶을 은유하며, 이는 당시 지식인의 모순된 자의식을 나타낸다.[12]

'나'는 아내에게 사육되는 존재이기도 하다. 아내가 무슨 일을 하는지 모르는 주인공은[14] 아내가 일하는 시간에는 아랫방에 들어갈 수 없다. 이 규칙을 지키면 아내에게 밥과 돈을 받을 수 있다.[13] 아내는 매춘에 방해가 되는 남편을 수면제로 재우고 어두운 방에서 나오지 못하게 한다.[10]

'나'는 세상과 단절된 자신의 방과[15] 아내의 규율에서 벗어나 다섯 차례 외출한다.[13] 외출을 통해 '나'는 시간적, 공간적 확장과 함께 의식의 확장까지 경험한다. 마지막 외출에서 '나'는 날개를 펴고자 하는데, 이는 분열된 자아에서 본래의 자아를 찾고자 하는 의지이자 자기 구제를 꾀하는 의지로 볼 수 있다.

4. 3. 의식의 흐름 기법

의식의 흐름 기법은 몽환적이고 단절된 서술 방식으로 '나'의 혼란스러운 내면 심리를 효과적으로 드러낸다. 이 기법은 '나'와 아내의 갈등, 분열된 자의식에서 비롯된 불안정한 심리 상태를 보여준다.[11][12]

4. 4. 전도된 가치와 욕망

'나'와 아내의 관계는 뒤틀린 부부 관계로, '나'의 전도된 가치관을 은유적으로 보여준다.[11] 이는 일제강점기 지식인의 모순된 자의식을 나타낸다.[12] '나'는 아내에게 사육되는 존재이기도 하다. 아내가 무슨 일을 하는지 모르는 '나'는[13] 아내가 일하는 시간에는 아랫방에 들어갈 수 없다. 이 규칙을 지키면 아내에게 밥과 돈을 받는다.[13] 아내는 매춘에 방해가 되는 남편을 수면제로 재우고 어두운 방에서 나오지 못하게 한다.[10]

4. 5. 아내에 의한 사육

'나'는 아내에게 전적으로 의존하며, 아내가 정해 놓은 규칙 안에서만 생활한다. 아내가 하는 일을 알지 못한 채, 아내가 외출하는 시간에는 아랫방에 들어갈 수 없고, 이 규칙을 지켜야만 밥과 돈을 받을 수 있다.[13] 아내는 매춘을 하는 동안 남편인 '나'를 아달린으로 재우고 어두운 방에서 나오지 못하게 한다.[10] 이는 '나'가 아내에게 사육되는 존재임을 보여준다.

4. 6. 자아 회복의 갈망

'나'는 마지막 외출에서 날개를 펴고자 하는데, 이는 자신의 분열된 자아에서 본래의 자아를 찾고자 하는 의지이자[11] 자기 구제를 꾀하는 의지로 볼 수 있다.[12] 정오의 사이렌이 울리고, '나'의 가짜 날개가 갈라져 나온 겨드랑이가 가렵기 시작한다. '나'는 더 이상 갖지 못한, 희망과 야망의 옛 날개를 떠올린다. '나'는 "날개여, 다시 펴라! 날아라. 날아라. 한 번만 더 날게 해다오. 한 번만 더 날게 해다오."라고 외치고 싶어한다.[2][5]

5. 평가

〈날개〉는 일제 강점기 식민지 지식인의 자기 소모적이고 자기 해체적인 모습을 그려, 사회 현실의 문제를 심리적인 의식의 내면으로 투영시킨 문학 기법상의 방향 전환으로 문학사적 의미를 가진다.[11] 또한 한국 현대문학 최초의 심리소설로도 불리며,[12] 내용의 난해함과 파격성으로 1930년대 모더니즘 소설의 으뜸이라 평가받기도 한다.[14] 작품은 〈오감도〉로 대표되는 이상의 실험적인 작품에 대한 생경한 반응을 신심리주의 혹은 심화된 리얼리즘이란 평가로 바꿔놓았다.[10]

결혼 관계는 남편이 양육되는 모습을 통해 '나'라는 가치가 일상생활에서 소외되는 삶의 은유이며, 자기 분열의 장애를 극복하고 자립을 추구하기 위한 '나'의 역설적인 등장은 이상이 행한 실험적 문학에 의해 형성되었다.

5. 1. 문학사적 의의

〈날개〉는 일제 강점기 식민지 지식인의 자기 소모적이고 자기 해체적인 모습을 그려, 사회 현실의 문제를 심리적인 의식의 내면으로 투영시킨 문학 기법상의 방향 전환으로 문학사적 의미를 가진다.[11] 또한 한국 현대문학 최초의 심리소설로도 불린다.[12] 내용의 난해함과 파격성으로 1930년대 모더니즘 소설의 으뜸이라 평가받기도 한다.[14] 작품은 〈오감도〉로 대표되는 작가 이상의 실험적인 작품에 대한 생경한 반응을 신심리주의 혹은 심화된 리얼리즘이란 평가로 바꿔놓았다.[10]

특히 의식과 심리의 내면화는 1930년대 문학에서 식민지 사회의 병리 현상을 개인의 삶의 이야기의 모순과 갈등으로 대체함으로써 사회 현실을 무시하지 않아도 되었다는 점에서 새로운 의의를 가진다.[5] 1920년대 이전의 1인칭 시점 소설에서 목격자나 실제 경험자의 보고와 고백은 외부적인 표현이나 평면적인 구성으로 내면화되지 않았으나, 이 소설에서는 이러한 것들이 심리적 표현을 통해 내면화된 실험을 거쳐 구현되었다. 이는 소설사에서 전환점으로 여겨진다.

5. 2. 1930년대 모더니즘 대표작

〈날개〉는 일제 강점기 식민지 지식인의 자기 소모적이고 자기 해체적인 모습을 그려, 사회 현실의 문제를 심리적인 의식의 내면으로 투영시킨 문학 기법상의 방향 전환으로 문학사적 의미를 가진다.[11] 또한 한국 현대문학 최초의 심리소설로도 불린다.[12] 내용의 난해함과 파격성으로 1930년대 모더니즘 소설의 으뜸이라 평가받기도 한다.[14] 작품은 〈오감도〉로 대표되는 이상의 실험적인 작품에 대한 생경한 반응을 신심리주의 혹은 심화된 리얼리즘이란 평가로 바꿔놓았다.[10] 식민지 사회의 병리를 개인의 삶의 모순과 갈등으로 바꿈으로써 현실을 외면하지 않아도 되었다는 부분에서도, 의식 및 심리의 내면화 현상이 1930년대 문학사에서 새로운 의의를 가진다.[11]

5. 3. 심리주의적 기법의 영향

〈날개〉는 일제 강점기 식민지 지식인의 자기 소모적이고 자기 해체적인 모습을 그려, 사회 현실의 문제를 심리적인 의식의 내면으로 투영시킨 문학 기법상의 방향 전환으로 문학사적 의미를 가진다.[11] 또한 한국 현대문학 최초의 심리소설로도 불리며,[12] 내용의 난해함과 파격성으로 1930년대 모더니즘 소설의 으뜸이라 평가받기도 한다.[14] 작품은 〈오감도〉로 대표되는 이상의 실험적인 작품에 대한 생경한 반응을 신심리주의 혹은 심화된 리얼리즘이란 평가로 바꿔놓았다.[10] 식민지 사회의 병리를 개인의 삶의 모순과 갈등으로 바꿈으로써 현실을 외면하지 않아도 되었다는 부분에서도, 의식 및 심리의 내면화 현상이 1930년대 문학사에서 새로운 의의를 가진다.[11]

1920년대 이전의 1인칭 시점 소설에서 목격자나 실제 경험자의 보고와 고백은 외부적인 표현이나 평면적인 구성으로 내면화되지 않았다. 이 소설에서는 이러한 것들이 심리적 표현을 통해 내면화된 실험을 거쳐 구현되었다. 이는 소설사에서 전환점으로 여겨진다.

특히 의식과 심리의 내면화는 1930년대 문학에서 식민지 사회의 병리 현상을 개인의 삶의 이야기의 모순과 갈등으로 대체함으로써 사회 현실을 무시하지 않아도 되었다는 점에서 새로운 의의를 가진다.[5]

6. 대중 문화

이상의 소설 《날개》는 영화, 게임, 음악 등 다양한 대중 문화 영역에 영향을 미쳤다. 1968년 최인현 감독이 〈날개〉를 영화화했고(이상의 날개), 주연 신성일대종상 남우주연상을 받았다.[15] 2023년 대한민국 스튜디오 프로젝트 문의 비디오 게임 《림버스 컴퍼니》에 이상과 소설을 모티브로 한 캐릭터가 등장했고, Mili는 소설을 모티브로 한 노래(Fly, My Wings)를 발표했다.

6. 1. 영화

최인현 감독의 1968년 영화 《이상의 날개》는 이상의 소설 〈날개〉를 영화화한 작품이다.[15] 이 영화에서 주연을 맡은 신성일대종상 남우주연상을 수상했다.[7]

6. 2. 게임

2023년 대한민국의 스튜디오 프로젝트 문에서 제작한 비디오 게임 《림버스 컴퍼니》에는 이상과 소설 《날개》를 모티브로 한 캐릭터가 등장한다.

6. 3. 음악

Mili의 노래 《Fly, My Wings》는 소설 《날개》를 언급하며, 작품의 주제 의식을 담아냈다.

참조

[1] 서적 Global World Encyclopedia Bumhan Co., Ltd (도서출판 범한) 2004
[2] 서적 The Wings Jimoondang Publishing Company 2001
[3] 논문 두 개의 태양, 그리고 여왕봉과 미망인의 거리 -이상의 <날개>를 중심으로- 2009
[4] 논문 도스토예프스키의 독자로서의 이상(李箱) 2022
[5] 웹사이트 날개 http://encykorea.aks[...] 2018-11-24
[6] 웹사이트 이상 (李箱) http://encykorea.aks[...] 2018-11-24
[7] 서적 죽기 전에 꼭 봐야 할 한국영화 1001 마로니에북스 2011
[8] 웹인용 이상 http://encykorea.aks[...] 2022-04-02
[9] 웹인용 이상 https://terms.naver.[...] 국어국문학자료사전 2022-04-02
[10] 웹인용 날개 https://terms.naver.[...] 2022-04-02
[11] 웹인용 날개 http://encykorea.aks[...] 2022-04-02
[12] 웹인용 날개 https://terms.naver.[...] 2022-04-02
[13] 웹인용 날개 https://terms.naver.[...] 2022-04-23
[14] 웹인용 날개 https://terms.naver.[...] 2022-04-23
[15] 서적 죽기 전에 꼭 봐야 할 한국영화 1001 마로니에북스 20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